dieBildung.net

[철학적인간학] 12주차 -下 (전두표 필사)

Posted in anthropologie by KeeChul Shin on the November 28th, 2008

스피노자에 따르면 인간에게는 정신과 육체가 있다. 그러나 이것들은 별개의 실체가 아니다. 인간의 한 면과 다른 면이다. 인간은 자유를 갖고 있지 못하다. 자아가 확장되어 신이 될 때에야 자유를 갖는다.

[필기전문읽기]

Comments Off

[철학적인간학] 12주차 -上 (전두표 필사)

Posted in anthropologie by KeeChul Shin on the November 28th, 2008

‘내가 너를 사랑한다’는 것은 물론 뇌수의 활동을 토대로 하지만, 즉 뇌수의 활동에 의존해 있지만, 심리적인 작용이 곧 뇌수와 동일시 될 수는 없다.

[필기전문읽기]

Comments Off

[철학적인간학] 13주차 -上

Posted in anthropologie by KeeChul Shin on the November 24th, 2008

결과의 원인을 찾는 것이 과학적 사유이다. 계속 캐들어가면 막히는 부분에 도달한다. 이때 과학은 더 이상 탐구하지 못하지만 철학자들은 ‘무언가가 있다’고 상정한다. 지적 직관에 의해서. 캐물은 결과, 최초의 원인은 자기가 자기를 결정하는 놈임이 밝혀진다. 이 놈이 어디서 나왔나? 몰라. 무엇의 결과? 몰라. 자꾸 따지면 이율배반에 빠진다. 이를 칸트는 자유의 영역이라 불렀다. 이 영역 전까지는 자연의 영역이다. 자유는 비결정의 세계이다. 알고 보면 자기가 결정한 세계이다. 서양 말에서 자유Freiheit는 비결정을 뜻한다. 이것으로는 부족하다. ‘스스로에게서 유래한다自由’가 자유의 온전한 뜻이다. 칸트는 인간의 삶을 두 세계로 나누었다. 한 쪽에서 인간은 철저하게 자연 법칙에 귀속되고, 다른 한 쪽에서는 자유롭다. 인간은 두 세계에 모두 걸치고 산다. 그래서 괴롭다. 칸트 철학이 문제 해결은 못해주지만 인간이 왜 괴로운지는 밝혀주니 그나마 덜 괴로울 수 있겠다.

[필기전문읽기]

Comments Off

[철학적인간학] 10주차 -上

Posted in anthropologie by KeeChul Shin on the November 12th, 2008

막스 셸러에 따르면 practical intelligence는 동물도 인간도 가지고 있다. 거기에서는 정도의 차이 밖에 없다. 그런데 식물에서 동물에 이르기까지의 모든 행태 다시 말해 생Leben과는 전혀 다른 어떤 것이 인간에게 있거니와 그것을 정신Geist이라고 한다. Leben과 Geist는 서로 통약되지 않는 영역이요 인간 만이 두 영역을 끌어 안고 있다. 셸러는 나아가 정신이 생화Verlebendigung des Geistes하고, 생이 정신화Vergeistigung des Lebeng하면 신이 된다Gottwerdung고 까지 주장하였다. 말년에 카톨릭에서 파문당하였다.

[필기전문읽기]

Comments Off

[철학적인간학] 8주차

Posted in anthropologie by KeeChul Shin on the November 6th, 2008

인간은 자연적 존재로서 동물과 달리 특정 자극에 대하여 기계적으로 법칙적으로 반응하지 않는다. 바로 그렇기 때문에 인간에게는 제 2의 자연이 필요하다. 그것이 인간 스스로 개척하는 문화라는 세계이다. 이 문화라는 세계에는 인간 스스로 질서를 부여해야 한다. 이에 인간에게는 사회성이라는 또 하나의 과제가 주어진다. 사회화를 통하여 인간은 개체가 아닌 종적 존재로서 살아간다.

[필기전문읽기]

Comments Off